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7)
16강. 기후 위기를 대하는 정부와 기업의 정책은? 16강. 기후 위기를 대하는 정부와 기업의 정책은? 이유진 연구원 1. 기후 위기의 속도와 탄소 중립으로 가는 길 1) 북극에서 메탄 대량 방출이 시작되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난화 지수가 20배 높은 온실가스이다. -> 지구 평균온도 상승이 가속화 될 수 있다. 2)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서 5~10% 꺽였다. 이 기세로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갈 수 있을까? 만약 파리협정에 약속한대로 라면 현상유지에 가깝다. ->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2. 한국과 주요국의 탄소중립 정책 전개 전망 1) 2020년은 선언의 해 2019.9.21 시민단체 기후위기 비상행동 비상선언 2020.6.5 환경의날 : 226개 기초지방정부 기후위기 비상선언. 1.5도 이하로 안정화 해야 한다. 2020.7.7 17개..
15강. 탄소 중립을 위한 그린 뉴딜 정책 15강. 탄소 중립을 위한 그린 뉴딜 정책 (정부와 기업의 대응 방안) 이유진 연구원 1. 2050 탄소중립과 그린 뉴딜 1) 코로나로 온실가스는 줄였지만 불평등은 심화시켰다. 2) 그린 뉴딜 : 기후위기 대응과 불평등 해소, 녹색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탈탄소 경제. 사회 대전환 2. 화석에너지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질적 방안 1) 화석에너지에서 벗어나는 일은 간단하지 않다 ->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불평등과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ex) 육류세를 반대하는 네덜란드 농민 : 우리가 기후위기의 주범인 거 같다. ex) 프랑스 유류세 인상 - '노란조끼 시위' : 부유세는 인하하고 유류세는 인상한다? 가난한 사람에게 기후위기 대응 부담을 더 많이 지우고 있다. ex) 썬라이즈 무브먼트 - 일자..
14강. 우리나라의 에너지 전환 현황 알기 14강. 우리나라의 에너지 전환 현황 알기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 이유진 연구원 1. 한국 사회의 기후 대응 현주소 1) 우리나라의 에너지 관련 지표들 1차 에너지 소비 : 세계 9위 석유소비 : 세계 8위 전력소비 : 세계 7위 이산화탄소 배출 : 세계 7위 석탄 소비 : 세계 4위 석탄화력 세계 투자 : 세계 3위 2) 90년대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현재는 기후 악당 한국사회 -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7위 1990년대에 배출 온실가스 3억 톤 -> 2017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억 톤으로 2배를 넘겼다. 산업분야 54%, 건물 25%, 수송 14% 순이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40%가 전력생산할 때 배출하고 있다. 3) 200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 추세를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