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7) 썸네일형 리스트형 19강. 플라스틱이 기후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19강. 플라스틱이 기후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활동가 고금숙 1. 플라스틱과 기후위기의 관계 1) 플라스틱을 만들고 쓰는 모든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고, 산소와 만나 Co2가 된다. 2) 비닐봉지 한 장이 버려지는 과정에서 175만 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될 수 있다. 분해되는 과정에서 탄소가 나오고 역시 산소를 만나 이산화탄소가 되고 또 공기 중에 수소를 만나 메탄가스가 된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의 25배 위력을 가진 온실 가스이다. -> 쓰레기도 방귀를 뀐다. 3) 메탄 가스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은 기존 전기 생산보다 2배 많은 탄소 발자국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4) 개인의 선택권을 보장하라. 선거 때 비닐장갑을 쓸 것이냐, 에탄올 소독하.. 18강. 개인의 실천, 재활용이 답일까? 18강. 개인의 실천, 재활용이 답일까? 활동가 고금숙 1. 생산자가 책임지는 재활용 회수 제도 1) 재활용을 활용해서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가격도 비싸고 손도 많이 간다. ex) 맥심 포장지로 만든 클러치, 씹던 껌으로 만든 신발, 신문지로 만든 가방 -> 재활용 올바르게 분리배출 해야 한다. 2)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 : 냉장고를 바꾼다면? 기존 생산자가 회수해 가는 것이다. 2. 우리나라의 새로운 재활용 제도 1) 오늘의 분리수거 앱 : 분리 배출을 잘하면 포인트를 주는 앱 2) 재활용 정거장 : 제주도에서 시범사업 했으나 재활용 비율이 높아지고 질도 높아졌다. 3) 모아모아 사례 : 은평구에서 하고 있으나 20% 이상 분리배출률이 높아진다. 4) 신흥이re100 : 성남.. 17강. 일상 속 편리한 유혹에 빠지면 안 되는 이유 17강. 일상 속 편리한 유혹에 빠지면 안 되는 이유 활동가 고금숙 1. 코로나로 인한 일회용품 문제 1) 일회용 마스크 : 빛이 투과되지 않고 세겹으로 된 면 마스크는 비말 차단이 가능하다. 2) 우리는 우리가 한 일을 알고 있다. - 플라스틱은 썩지 않는다. 3) 1g 안되는 비닐봉지에 사과 10개를 담아도 찢어지지 않는다. 1분에 2백만 개가 사용된다. 2. 플라스틱의 문제점 1) 도대체 거북이는 왜 비닐을 먹을까? 해파리와 비슷하게 생긴 투명한 비닐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이다. 실제 플라스틱이 풍성해 보이고 알록달록해서 눈에 잘 들어온다. & 알바트로스가 죽어가고 있다? 병뚜껑 등 플라스틱을 새끼에게 먹이로 주고, 그게 배에 가득차 배고픔으로 죽어가고 있다. -> 플라스틱은 배출되지 않고 몸에 쌓..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