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7)
13강. 세계는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13강. 세계는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신기후체제와 탄소 중립) 이유진 연구원 1. 세계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1) 평균기온 1도 상승한 지구에서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다. -> 문제는 속도이다. 2) 기후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에너지(Co2)석유, 석탄 등이다. 1950년대 후반부터 석탄 등 화석 에너지 사용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인류역사상 인간의 경제 활동을 위하여 화석에너지를 많이 쓰기 시작한 시기이다. ->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 바이오 연료 : 곡물이나 식물, 나무, 해조류, 축산폐기물등에서 만든 연료 3)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어디가 많을까? 1위 중국(27%), 2위 미국(18%), 3위 인도, 4위 러시아, 5위 일본, 6위..
12강. 자연과 공생하는 인간, 호모 심비우스로 사는 법 12강. 자연과 공생하는 인간, 호모 심비우스로 사는 법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 1. 우주의 역사가 1년이라면? 프란시스코 교황님의 말씀에 따르면 생태적 죄를 인간의 원죄에 포함 시킨다. 하느님이 이 세상 모든 것을 창조하셨다. 이 세상 모든 것은 하나님의 피조물이다. 같은 피조물끼리 괴롭히고 죽이고 유린하는 것이 바로 죄다. 2. 공생하는 인간, 호모 심비우스 1) 2021년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한 문제. 플라스틱 문제. 노력하자. 장바구니 챙기기 등. 2) "벌레먹은 과일 주세요" - 절세미인 과일은 아우슈비츠 독가스실에서 나온 과일이나 다를 바가 없다. - 이렇게 소비자가 달라지고 요청하기 시작하면, 우리는 건강한 과일을 먹을 수 있다. 3) 박경리 선생님의 연설 : "원금 건드리지 말..
11강. 팬데믹을 불러온 건 생물 다양성 문제? 11강. 팬데믹을 불러온 건 생물 다양성 문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 1.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와 관계 1) 기후변화보다 생물다양성 이슈가 더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냉난방시설을 갖춘 우리는 살아남지만, 그렇지 못한 생물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럼 저들이 사라진다면 우리가 어떻게 살아남을까? 더 직접적이고 더 빨리 우리를 공격하게 될 것이다. 2) 국립생태원 Mission : 세계적인 생태학 연구를 바탕으로 자연환경의 보전과 생태문화 확산을 도모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 구현에 기여한다. 개발 문화 vs 생태 문화 : 지금까지 보존보다는 개발을 하는 사람들이 우선 시 되어왔다, 경제 발전이 따라오기 때문이다. 연구 > 전시 > 교육 -> 그렇다면 어떤 연구를?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 생물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