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자연재해를 이해하기 위한 5가지 기본 개념
해양과학자 남성현
1. 해양과학자가 하는 일
1) 관측 해양학자(Sea Going Scientist)는 왜 바다를 갈까?
지구는 바다가 차지하는 부분이 아주 넓다. 면적으로는 2/3이 바다이다.
바다는 해류를 타고 이동을 하고 열대해역의 따뜻한 바닷물이 무역풍을 타고 서쪽으로 이동해서 Warm pool을 형성한다. 증발이 잘 일어나고 구름이 많이 만들어진다.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바닷물이 증발할 때 만들어지는 열 에너지가 태풍이다. 이때 만들어진 태풍이 중위도로 북상하면서 종종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친다.
2. 자연재해의 중요성과 기본 개념
1) 자연재해란 무엇인가?
자연재해 또는 천재지변이란 폭풍, 홍수, 해일, 지진, 산사태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인명피해, 재산손실 및 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며 사람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 홍수, 태풍, 지진과 같은 자연현상들이 인명과 재산을 위험할 때 재해, 그럼 만약에 무인도에 태풍이 지나간다면? 그것은 자연재해라고 하지 않는다.
- 인구가 증가할수록 우리는 재해, 재난, 재앙과 더욱 자주 접하게 된다.
- 자연 현상과 재해를 이해하려면 지구 과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가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고 자연재해 특성에 맞춰서 대비를 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2) 재해vs재난vs재앙
- 재해(hazard) : 인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자연현상/자연과정이다. 현상/과정 자체는 재해가 아니고 그것이 해당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때 재해가 된다는 의미이다.
- 재난(disaster) : 재해가 보통 어떤 지역에서 한정된 시간에 걸쳐 발생하여 그것이 사회에 끼친 영향이다. 재난이란 용어는 자연현상이 사람과 관련되어 재산피해, 인명피해(부상. 사망)로 이어졌을 때 사용한다.
- 재앙(catastrophe) : 심각한 재난을 의미하며 재앙을 복구하는 데 수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3) 자연재해 이해의 중요성
- 동일한/유사한 자연현상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등의 재해 정도가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 지구 내부와 표면에서 작용하는 거대한 어떤 힘에서 기인된다. -> 내부 및 외부 자연 과정(procursor) 자연현상
- 재해 발생의 징조 혹은 전조(precursor)와 재해분석, 재해지도, 재해위험지도, 재해의 예측/예보와 경보/경고
4)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 태풍, 홍수, 가뭄, 폭설, 지진, 산사태, 우박, 폭염, 집중호우 등
5) 자연 서비스 기능(Natural service function)
-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홍수는 범람원에 영양분을 제공, 비옥한 토양 형성
- 섬 전체가 화산인 하와이 열도
- 영양분이 많은 화산재는 곡물/식물에 적합한 토양 형성
- 태풍에 의해 해양 심층의 영양염이 표층의 유광대(euphotic depth)로 공급
6) 자연재해를 이해하기 위한 5가지 기본 개념
1> 재해발생은 과학적인 평가로 예측할 수 있다.
2> 위험분석은 자연재해의 피해 효과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작업이다.
3> 재해와 물리적 환경 사이는 물론이고 서로 다른 자연재해들 사이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ex) 똑같이 폭우가 쏟아져도 어떤 산이냐에 따라 산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태풍이 오면서 해일이 일어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4> 과거에 재난을 일으켰던 재해가 다음에는 더 큰 재앙을 몰고 올 수 있다.
5> 재해 피해는 줄일 수 있다.
3. 자연재해 사례 : 태풍
1) 태풍(허리케인, 싸이클론)의 형성, 특성, 분류.
형성 : 열대 해역에서 나타나는 열대성 교란(tropical disturbance)과 열대성 저기압(tropical depression)
17m/s 미만(34 knots미만) : 열대저압부 (TD:Tropical Depression)
17~24m/s(34~47 knots) : 열대폭풍 (TS:Tropical Storm) -> 우리나라와 일본은 여기부터 태풍으로 부른다.
25~32m/s(48~63 knots) : 강한 열대폭풍 (STS:Severe Tropical Storm)
33m/s 이상(64 knots이상) : 태풍 (TY:Typhoon)
2) 특성 : 눈(eye) 중심의 나선형 구조, 북(남) 반구에서 시계 반대방향(시계 반향)으로 회전.
3) 분류 : 강도에 따라서 카테고리를 1~5, 분류/크기는 대/중/소 형으로 분류.
4. 자연재해 사례 : 쓰나미
1) 해파 : 심해파(깊은 곳에서 해파) vs 천해파(얕은 곳에서 해파)
바람(풍파) vs 지진(쓰나미)에 의해 생성
지진해일은 천해파 특성이다.
2) 발생
- 대부분 지진에 의한 갑작스러운 해분의 융기와 침강 작용
- 해저 사면붕괴, 종종 대규모 지진에 의한 촉발
- 화산 측면이 붕괴하여 해양으로 유입
- 해저 화산 폭발
- 소행성 같은 거대한 지구 외적 물체의 영향
자연재해 피해 경감을 위한 융합 연구 방향
1) 자연재해 취약성 & 위험분석
2) 자연재해 특성 & 미래 전망 시나리오 수집
3) 재해 피해 저감 & 재해 회복력 강화 체계 구축
5. 과제
* 2020년 태풍 마이삭
태풍 마이삭은 2020년 8월 28일 15시에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북태평양 고기압이 물러나면서 태풍이 발달하기 시작하는데 그동안 축척된 열에너지로 태풍이 단기간에 계속해서 발생한 것이 주된 이유이다. 사망 2명, 부상 5명의 인명피해, 태풍 당일 피해 신고 건수는 873건, 부산상공회의소에 태풍 피해 상황을 점검해본 결과는 3군데 중 1군데 꼴로 기업이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임시주거시설 운영, 구호물품 지원 등의 복구 노력을 하였다.
'기후변화전문가 > 기후변화전문가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강. 환경 변화를 위한 대처 방법 (0) | 2022.01.24 |
---|---|
6강. 인위적 기후변화 vs 자연적 기후변동 (0) | 2022.01.20 |
4강. 공유지의 문제! 책임은 모두에게 있다. (1) | 2022.01.13 |
3강. 경제적 외부성을 생각하라 (0) | 2022.01.10 |
2강. 6도의 멸종은 이미 시작됐다.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