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전문가/기후변화전문가 자격증

8강. 작은 바다만 활용해도 한 나라를 구합니다.

8강. 작은 바다만 활용해도 한 나라를 구합니다.

해양과학자 남성현

1. 지구? 수구? 해구? 무한한 잠재력

1) 우리는 과연 얼마나 바다에 대해 알고 있는가?

  • 지구 상에 존재하는 물의 97% 저장소
  • 평균 수심 3.734m(육상 평균 고도 743m)
  • 전체 산소 생산량의 절반 이상(50~85%)을 대기로 공급
  • 전 세계 단백질 공급의 20% 담당
  • 지구 상 생명력의 50~80% 서식
  • 지구 상 최대 서식지(85% 면적과 90%의 부피는 심해!)
  • 기후에 반응하고 또 심대하게 영향을 미치는 '기후 조절자'

2. 해양순환과 기후변화

1) 바닷물의 특성 : 다 같은 물이 아니다. 색깔로 표현한 것이 표층 바닷물의 밀도. 밀도가 클수록 진한 색이다.

그린란드 해역(북대서양 심층수), 남극해 주변(남극 저층수)은 매우 무거운 물이 표층에 있다.

* 해양심층수 : 햇빛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하 깊은 곳의 바닷물

* 저층수 : 4000m 이상의 깊이의 물

2) 수심에 따라 수온과 염분이 달라진다.

3) 북대서양 심층수와 남극 저층수가 만나서 섞이는 것을 환남극 심층수라고 한다. 

3. 해양관측-과거, 현재, 미래

1) 과거 : 영국의 해양조사선인 캘린저호. 1872~1876년까지 탐사했다.

2) 현재 : 현재에는 많은 해양 관측 도구들이 발전했다. 데이터를 위성을 통해서 관측이 가능하다.

* 쓰나미 부이 등을 이용해서 쓰나미에도 대비할 수 있다. 

  -> 해수면이 쓰나미로 인해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수압이 변하고 그 데이터를 음향으로 보낸다.

* 다양한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 12,949개 플랫폼에서 4억 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3) 미래

 1> 프로슈머(Prosumer) = Priducer(생산자) 또는 Professopnal(전문가) + Consumer(소비자)

  • 엘빈 토플러(1980) <제3의 물결>에서 최초 사용
  • 소비자이면서 생산에도 기여 또는
  • 비전문가이지만 타 전문 분야에도 기여
  • 각종 셀프서비스나 DIY(Do It Yourself)등을 통해서 나타남

 2> 해양관측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 동기화된 환경으로 전시관에 증강현실을 만들어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다.

4. 지구 공학적 관점으로 보기 

1) 지구/기후 공학(Geoengineering) : 원하지 않는 기후변화를 제한하기 위하여 지구 기후 시스템에 대규모의 변화를 주는 행위 - 이산화탄소의 제거, 태양광 입사 조작

2) 유엔 해양과학 10년(2021-2030)

  • 깨끗한 바다 : 해양오염
  • 건강하고 회복력 강한 바다 : 생태계
  • 예측 가능한 바다 : 해양 이해와 예보
  • 안전한 바다 : 해양재해 경보
  • 지속 가능한 생산적인 바다 : 식량안보
  • 투명하고 접근한 바다 : 해양 데이터 포털

5. 과제